이 시는 우리 현대사에 당면 과제를 제시하고 있다. 외세에 의한 민족 분단의 아픔의 해결과 민족의 자각으로 자주 통일을 이루어야 한다는 의지를 드러내고 있다. 우리가 겪고 있는 민족 분단의 비극은 ‘바다와 대륙 밖’에서 온 외부적 세력과 내부적으로 남북의 대립과 긴장을 ‘강산을 덮은 그 미움의 쇠붙이들’로 부정적 현실을 상징적으로 표현하고 있다. 이러한 문제의 해결책은 바로 우리 민족이 주체가 되어 민족의 화합을 이루어 통일된 우리의 미래를 만들고자 염원하고 있다.
성격 : 참여적, 저항적, 상징적, 예언적
특징 : 상징에 의한 시상의 전개, 단정적 어조의 사용
제재 : 겨울과 봄.(분단과 통일)
주제 : 통일의 실현(통일에 대한 염원)
봄은(봄: 통일, 민족의 동일성이 회복되는 날)
남해에서도 북녘에서도 (외세세력, 한반도를 둘러싼 외부의 세력)
오지 않는다.(단정적어조)
① 기 : 통일의 주체 제시(제1연)
너그럽고
빛나는
봄(통일)의 그 눈짓은,
제주에서 두만까지(대유법-우리 국토)
우리(표면적 화자)가 디딘
아름다운 논밭(대유법-우리 국토)에서 움튼다.
② 승 : 자주적 통일의 기반(제2연)
겨울은(분단된 부정적 현실)
바다와 대륙 밖에서(외부의 세력에 의해)
그 매서운 눈보라(분단의 고통) 몰고 왔지만
이제 올
너그러운(의인법) 봄(통일)은, 삼천리 마을마다
우리들 가슴속에서(주체적)
움트리라.(통일을 예언)
③ 전 : 분단의 원인과 해결책(제3연)
움터서,
강산을 덮은 그 미움의 쇠붙이들(남북의 군사적 대립)
눈 녹이듯 흐물흐물
녹여 버리겠지.(단정적 어조사용)
④ 결 : 통일된 조국의 미래(제4연)
[2022년 국가직 9급 기출] 문14. 다음 시에 대한 이해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?
① 현실을 초월한 수순 자연의 세계를 노래하고 있다.(초월이 아닌 현실문제를 극복한 것이며, 수순 자연을 노래한다는 것은 강호가도의 시를 의미로 이 시와는 상관이 없다. 정답)
② 희망과 신념을 드러내는 단정적 어조로 표현하고 있다. (단정적 어조는 ‘오지 않는다, 움튼다, 움트리라, 녹여 버리겠지’와 같은 표현으로 강한 신념을 드러내고 있다)
③ 시어들의 상징적인 의미를 통해 주제를 형성하고 있다. (‘남해, 북녘, 바다, 대륙’과 같은 외세세력을 상징하고 있고, ‘봄’은 통일을, ‘제주에서 두만’,‘논밭’은 우리의 국토를, ‘삼천리 마을’,‘강산’은 우리의 주체성을 상징하고 있다)
④ ‘봄’과 ‘겨울’의 이원적 대립으로 시상을 전개하고 있다. (‘봄’은 통일을, ‘겨울’은 분단을 표현하며 이원적 대립으로 시상을 전개하고 있다)
신동엽(申東曄, 1930 - 1969). 부여 출생. 건국대 대학원 국문과, 전주사범 및 단국대 사학과 졸. 1959년 <조선일보>에 장시(長詩)<이갸기하는 쟁기꾼의 대지>로 등단. 역사에 대한 재해석과 비판, 민족적 운명에 대한 뜨거운 사랑을 맑은 감성, 은유, 고운 언어로 표현. 첫시집 <아사녀>(1963) 발간. 장편서사시<금강> 발표(1967). 시선집 <누가 하늘을 보았다 하는가>(1979) 발행. 1961년 명성여자고등학교 교사 부임 중 69년 작고.
'공무원 9급 국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산(김소월) [2022년 지방직 9급] 기출 해설 (0) | 2023.03.12 |
---|---|
만흥(윤선도) 완벽 해설 (1) | 2023.03.12 |
[2017년 국가직 9급 기출문제] 저문 강에 삽을 씻고(정희성) 작품해설 (0) | 2023.03.04 |
[2018년 국가직 9급 기출] 사평역에서(곽재구) 해설 (0) | 2023.03.02 |